현재는 대다수의 기독교 종파들이(일부를 제외하고) 삼위일체를 중심적인 교리로 이해하고 있다.--------------------- 삼위일체론자들이 자신들의 "신비적이론"을 옹호할때 가장 많이 인용하는 성구는 이사야서9장6절이다. --------------------- 내용은 다음과 같다.
6 ‘But to us, a child has been born,
And to us, a son has been given
Upon whose shoulders the kingdom will come…
And these are the names by which he’ll be called:
The Angel of Great Understanding;
The Wonderful Councilor and Mighty God;
The Powerful One and Prince of Peace;
And the Father of the Age that is Coming.’
‘Then to this prince, I’ll bring peace and good health;
7 And from the throne of David, his rule will be great…
There will be no end to his peace!
For his kingdom will be founded on justice and judgments
Both now and into the age…
Which will come through the zeal of Jehovah of Armies.
과연 이성구가 삼위일체설을 뒷받침하는가? 그점을 이해하기 위해서 수많은 성구들과 비교해 볼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여러 불필요한 논의를 피하기 위해서 고린도전서15장15절을 읽어보자. 이성구는 죽어있던 예수그리스도를 부활시킨자가 누군인지 명시되어있다.
15 and we've proven to be false witnesses of God, because we've testified concerning God that He raised the Anointed One… who couldn't have really been raised if the dead won't be raised! 이뿐만아니다! 삼위일체설이 가짜라는 가장중요한 근거성구는 고린도전서 15장24절부터 28절까지이다.
. 24 Then in the end, after he has brought all governments, authorities, and powers to nothing, he will hand over the Kingdom to his God and Father. 25 For he must rule [as king] until he has put all his enemies under his feet 26 and the final enemy, the death, has come to an end.
27 Yes, he will indeed put everything under his feet! However, when it says that everything will be put under his feet, it's evident that the exception is the One who put everything under him. 28 For after everything has been put under him, the Son will submit to the One who put everything under him, so that God can be everything to everyone.--------------여기의 마지막 성구를 보라. "the Son will submits to the One who put everything under him, so that God can be everything to everyone" ------------------ 여기의15:28절을 다른 여러 번역판은 어떻게 번역했을까? Biblehub에 들어가서 참조해보자. 고전 15:28-------------
◄ 1 Corinthians 15:28 ►
Verse (Click for Chapter)
New International Version
When he has done this, then the Son himself will be made subject to him who put everything under him, so that God may be all in all.
New Living Translation
Then, when all things are under his authority, the Son will put himself under God's authority, so that God, who gave his Son authority over all things, will be utterly supreme over everything everywhere.
English Standard Version
When all things are subjected to him, then the Son himself will also be subjected to him who put all things in subjection under him, that God may be all in all.
Berean Study Bible
And when all things have been subjected to Him, then the Son Himself will be made subject to Him who put all things under Him, so that God may be all in all.
Berean Literal Bible
Now when all things shall have been put in subjection to Him, then also the Son Himself will be put in subjection to the One having put in subjection all things to Him, so that God may be all in all.
New American Standard Bible
When all things are subjected to Him, then the Son Himself also will be subjected to the One who subjected all things to Him, so that God may be all in all.
King James Bible
And when all things shall be subdued unto him, then shall the Son also himself be subject unto him that put all things under him, that God may be all in all.
Holman Christian Standard Bible
And when everything is subject to Christ, then the Son Himself will also be subject to the One who subjected everything to Him, so that God may be all in all.
International Standard Version
But when everything has been put under him, then the Son himself will also become subject to the one who put everything under him, so that God may be all in all.
NET Bible
And when all things are subjected to him, then the Son himself will be subjected to the one who subjected everything to him, so that God may be all in all.
New Heart English Bible
When all things have been subjected to him, then the Son will also himself be subjected to him who subjected all things to him, that God may be all in all.
Aramaic Bible in Plain English
And when all is subjected to him, then the Son shall be subject to him who subjected all things to him, that God might be all in all.
GOD'S WORD® Translation
But when God puts everything under Christ's authority, the Son will put himself under God's authority, since God had put everything under the Son's authority. Then God will be in control of everything.
New American Standard 1977
And when all things are subjected to Him, then the Son Himself also will be subjected to the One who subjected all things to Him, that God may be all in all.
Jubilee Bible 2000
And when all things shall be subdued unto him, then shall the Son also subject himself unto him that put all things under him, that God may be all in all.
King James 2000 Bible
And when all things shall be subdued unto him, then shall the Son also himself be subject unto him that put all things under him, that God may be all in all.
American King James Version
And when all things shall be subdued to him, then shall the Son also himself be subject to him that put all things under him, that God may be all in all.
American Standard Version
And when all things have been subjected unto him, then shall the Son also himself be subjected to him that did subject all things unto him, that God may be all in all.
Douay-Rheims Bible
And when all things shall be subdued unto him, then the Son also himself shall be subject unto him that put all things under him, that God may be all in all.
Darby Bible Translation
But when all things shall have been brought into subjection to him, then the Son also himself shall be placed in subjection to him who put all things in subjection to him, that God may be all in all.)
English Revised Version
And when all things have been subjected unto him, then shall the Son also himself be subjected to him that did subject all things unto him, that God may be all in all.
Webster's Bible Translation
And when all things shall be subdued to him, then shall the Son also himself be subject to him that put all things under him, that God may be all in all.
Weymouth New Testament
But when the whole universe has been made subject to Him, then the Son Himself will also become subject to Him who has made the universe subject to Him, in order that GOD may be all in all.
World English Bible
When all things have been subjected to him, then the Son will also himself be subjected to him who subjected all things to him, that God may be all in all.
Young's Literal Translation
and when the all things may be subjected to him, then the Son also himself shall be subject to Him, who did subject to him the all things, that God may be the all in all. ------------------------- 삼위일체설을 맨처음 퍼트린 카톨릭은 삼위일체설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내렸다. ----------
「신 가톨릭 백과사전」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세 위 속의 한 하느님’이란 교리는 4세기 말 이전에는 완전히 체계화되지 않았으며, 확실히 온전하게 그리스도인 생활과 신앙 고백의 일부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체계화된 바로 이 교리가 처음으로 삼위일체 교리라는 명칭을 갖게 되었다. 사도 교부들 간에는 그러한 사고나 관점에 조금이라도 닮은 것조차 전혀 없었다.”—(1967년판), 제14권, 299면. -----------------
삼위일체 교리의 기원은 무엇인가?
「신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삼위일체라는 말도 그에 해당하는 명백한 교리도 신약에서 찾아 볼 수 없으며, 예수와 그의 추종자들도 구약에 나오는 쉬마 즉 ‘이스라엘아 들으라. 주 우리 하나님은 오직 하나인 주이시니[라]’(신명 6:4)는 말과 모순되는 말을 하려고도 하지 않았다. ··· 그 교리는 여러 세기에 걸쳐 많은 논쟁을 거치면서 점차 발전된 것이다. ··· 4세기 말에 이르러 ··· 삼위일체 교리가 구체적으로 정립되었으며 그 후 그대로 유지되었다.”—(1976년판), 마이크로패디아, 제10권, 126면.
정의: 그리스도교국에 속한 종교들의 중심 교리. 아타나시오스 신경에 의하면, 신성한 세 위(아버지, 아들, 성령)가 있고, 각기 영원하며, 각기 전능하고, 아무도 다른 자보다 크거나 작지 않으며, 각기 하느님이지만, 모두가 한 하느님을 이룰 뿐이라고 한다. 이 교리에 대한 다른 설명들은 세 “위”는 분리된 별개의 개체가 아니라, 신의 본질이 내재하는 세 가지 형태라고 강조한다. 따라서 일부 삼위일체론자들은 예수 그리스도는 하느님이라거나, 예수와 성령은 여호와라는 그들의 믿음을 강조한다.
삼위일체(三位一體, 라틴어: Trinitas 트리니타스[*])는 기독교 등의 종교적 교리로, 이에 대한 세부적인 개념은 종파마다 상이하다.
기원
삼위일체 방패(Scutum Fidei). 아버지(Pater)와 아들(Filius)과 성령(Spiritus Sanctus)은 동일한 인격이 아니나(non est) 한 하느님(하나님)이다.
기독교의 삼위일체론의 초기 기원은 그리스도론(기독론)의 확장에서 시작되었다. 막 태동되었던 기독교에게 70년 유대 전쟁에서 다른 유파가 사라지고 유일하게 남은 바리새파 유대교와 인성을 강조하는 에비온주의, 신성만을 강조하는 영지주의의 등장으로 기독교 뿌리를 흔든 자극이 되었고, 그리스도가 누구인지 논리적인 설명인 신학이론이 필요했다. 이 즈음에 형성된 신약성경을 바탕으로 그리스도론과 그 그리스도론의 존재 이유에 대한 설명인 삼위일체가 등장하였다. 삼위일체는 점차 발전하여 이 세상을 설명하는 세계관과 신학적 지침으로서 기독교에 중요한 교리가 되었다.[1]
기독교
기독교에서 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은 삼위(3 Persons, 세 위격, 세 인격)로 존재하지만, 본질(essence)은 한 분 하느님이라는 교리이다.[2]삼위일체라는 표현은 교회에서 구약이라고 부르고 있는 타나크는 다양한 방식으로 간접적인 삼위일체가 나타나며, 신약성경 고후 13: 13에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하느님의 사랑과 성령의 교통하심이 너히 무리와 함께 있을지어다"라는 표현에서 삼위일체가 분명하게 제시되고 있다. 물론 삼위일체라는 용어는 후대 교회에서 사용하였다. 또 신구파를 막론한 대다수의 기독교는 삼위에 대한 개념이 요한 복음서 등에서 간접적으로 암시함(아버지와 아들이 하나라는 표현이 자주 나옴)을 주장하며 옹호하고 있다.[3]삼위일체 교리는 로마 가톨릭교회가 325년에 제1차 니케아 공의회와 38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정통 교리로 확정하면서 기독교의 공식적인 교리로서 처음 자리를 잡았다.
기독교의 삼위일체 교리는 성자, 즉 그리스도의 탄생과 죽음, 부활사건에서 시작되었다. 기독교의 경전 중에서 요한복음서에서 그리스도의 선재와 성령의 오심을 설명하여 삼위의 개념을 다루고 있다. 사상적 개념으로는 기독교 초기의 환경이었던 유대교, 다신론, 영지주의 등의 배경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하느님의 아들로 보내어졌고, 아들이 이 땅에 존재했으며, 십자가에 못박혀 죽고 부활한 후에도 함께 하시는 주, 즉 기독교가 고백하는 주에 대한 새로운 설명이 요청되었다. 특히 영지주의의 유출설과 마르키온주의의 이원론은 그리스도론을 뒤흔드는 사건이었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학적 개념이 필요했다.[4]이 새로운 개념은 흔히 325년 니케아 공의회와 381년 콘스탄티노플 공의회에서 호모우시우스라는 예수와 성부가 동일 본질이라는 관념을 더욱 발전시키고 논리적으로 체계화 시켜 삼위일체로써 확정했다.니케아 공의회 이전부터 교부들 사이에서 받아들여지던 호모우시우스의 “동질적이고 하나의 실체로 된 아들과 아버지”라는 관념에 도전하여 삼위일체를 부인한 아리우스는 제1차 니체아 공의회에 의하여 파문되었다.
공의회의 결정 이전에 1세기 사도 교부인 로마의 클레멘스의 삼위 언급 즉 "하나님의 사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사심, 성령으로" [5]라고 고백하는 문헌과 성육신 이전 예수 그리스도의 선재를 받아들이는 기록이 있다. 사도 교부인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도 이미 존재했던 세례의 문구와 요한복음서를 활용하여 삼위 개념을 언급했다.[6] 2세기를 맞으며 기독교 변증가들은 성부와 성자의 관계를 설명하는 틀을 신학적으로 마련하고자 애썼다. 로고스 개념을 활용하여 유스티아누스에서 타티아누스, 안디오키아의 테오필루스로 이어지며 발전하였다. 2세기의 신학자이레니우스의 경세적 삼위일체론의 등장과 이후 초대 기독교 전승을 기록한 사도전승에서 이미 삼위일체 개념을 따라 서품되는 감독자의 기도문이 있으며[7], 그 후 3세기 신학자 히폴리투스와 테르툴리아누스의 삼위일체론을 바탕으로 4세기 공의회의 결정이 이루어졌다.
일부 종교 학자들은 4세기 즈음에 확정된 삼위일체설은 기독교의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을 부인하고 있고, 또 이는 하느님의 본성에 대한 초기 기독교에서 비롯되었다는 주장도 있으며[8], 기독교 선교 이전 플라톤이 주장하던 성 삼위일체의 개념에서 가져온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9] 다른 학자는 삼위일체라는 개념이 기독교의 삼위일체설은 고대 이집트, 힌두교를 비롯한 고대 신앙의 영향을 받아 혼입된 교리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현재는 대다수의 기독교 종파들이 삼위일체를 중심적인 교리로 이해하고 있다. 요한 복음서 14장에서 설명된 것처럼 예수 그리스도는 공생애를 통하여 자신이 곧 하느님이라는 사실과, 자신이 성부의 독생자로서 성부와 영원한 관계에 있다는 것과, 성령도 하느님으로서 하느님의 일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하느님은 '절대단독주체 (Absolute Singleness)'가 아니며 성부, 성자, 성령 삼위가 하나이며 이를 통하여 예수는 삼위일체의 그 자체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삼위일체가 모든 기독교 종파의 주요 교리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여호와의 증인 등 일부 교파에서는 비성경적 논리에 불과하다며 삼위일체설을 부인하기도 한다.
찬성 견해
삼위일체의 요소는 성부, 성자, 성령인데 마태 복음11장 27절과 마가 복음 10장 22절에서 예수는 ‘아버지’로부터 모든 것을 받았다고 하는데서 비롯된다.
내 아버지께서 모든 것을 내게 넘겨주셨습니다. 아버지 외에는 아무도 아들을 온전히 알지 못합니다. 또한 아들 외에는 그리고 아들이 기꺼이 밝혀 주려고 하는 사람 외에는 아무도 아버지를 온전히 알지 못합니다.— 마태 복음 11장 27절
또한 28장 19절에서는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라고 가르쳤고, 요한 복음서 14장은 이를 더욱 구체화하여 서술하고 있다. 코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8장 6절에는 대구법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가 곧 창조주와 동일함을 시사하고 있다.
우리에게는 오직 한 하느님 곧 아버지가 계십니다. 그분에게서 모든 것이 나왔고 우리도 그분을 위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주 곧 예수 그리스도가 계십니다. 그분을 통해 모든 것이 있게 되었고 우리도 그분을 통해 있습니다.— 고린도 전서 8장 6절
반대 견해
그러나 구약성경 신명기 6장 4절에서 나오는 "너, 이스라엘아 들어라. 우리의 하느님(하나님)은 야훼시다. 야훼 한 분뿐이시다."라는 구절과 신약성경 마태 복음서 4장 10절에서 "사탄아, 물러가라! 성서에 '주님이신 너희 하느님(하나님)을 경배하고 그분만을 섬겨라.' 하시지 않았느냐?"라는 구절 등 성서의 여러 면을 살펴보면 삼위일체와 관계되지 않는 듯한 내용도 담겨져 있다. 여호와의 증인이나 유니테리언,그리스도아델피안 등의 삼위일체를 부인하는 종파는 이 점 또한 지적하며 만약 예수 그리스도가 삼위일체의 일부분이었다면, "오직 그분에게만"이라고 하지 않고 "우리에게"라고 말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신 가톨릭 백과사전」(New Catholic Encyclopedia, 1967년판) 제14권 299면에 수록된 내용을 살펴보면, 로마 가톨릭교회도 삼위일체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삼위일체 교의는 4세기 후반에 가서야 고안된 것이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 어떤 면으로 볼 때 그것은 사실이다. (중략)‘세 위 속의 한 하느님’이란 교리는 4세기 말 이전에는 완전히 확립되지 않았으며, 온전히 그리스도인 생활과 신앙 고백의 일부가 되지 않았던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영문, 1970년판) 제6권 386면에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삼위일체 교리가 채택된 제1차 니케아 공의회 당시의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니케아 공의회는 A.D. 325년 5월 20일에 열렸다. 콘스탄티누스는 직접 회의를 주재하면서 토의를 적극적으로 주도하였으며, (중략) 공의회가 발의한 신경에 그리스도와 하느님의 관계를 ‘아버지와 하나의 실체’라고 표현한 결정적인 문구를 포함시킬 것을 직접 제안하였다. (중략) 주교들은 황제에게 위압감을 느껴 단지 두 명만 제외하고 신경에 서명하였다.------------삼위일체설은 :"악한영들과 demons들의 가르침"이다. 디모데전서 4장1절 참고:
Chapter 4
1 However, the Spirit definitely says that some will leave the faith in the future and pay attention to wicked spirits and the teachings of demons, 2 as well as to hypocritical men who are liars and whose consciences are seared as with branding irons.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