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문제에 관한고찰1부--------------수혈문제는 전세계적인 조직인 JWS 들 구성원들에게는 생사가 달린문제다. 이들의 입장은 여호와의 증인의 통치체가 내린 결정을 반영한다. 과연 이들의 수혈거부입장은 성경적인가? 수혈에 관한 여호와의증인의 입장이 과연 성서를 올바로 이해하고 취하는 입장인지를 확인하기위해서는 가능한한 선입견을 버리고 관련 성구들을 검토해 보는것이 옳을것이다. 레위기에 나오는 다음계명에 주목해보자. (Leviticus 17:10) 10 “‘As for any man of the house of Israel or some alien resident who is residing as an alien in YOUR midst who eats any sort of blood, I shall certainly set my face against the soul that is eating the blood, and I shall indeed cut him off from among his people. 이성구가 명확히 설명하듯이 피를 의도적으로 먹는 자는 누구든지 "죽음"을 피할 수 없었다. 그렇다면 피를 빼지않은 동물의 사체를 먹는자는 누구나할것 없이 사형에 처해졌을까? 그점을 확인하기위해 다음의 성구를 읽어보자. (Leviticus 17:13-16) “‘As for any man of the sons of Israel or some alien resident who is residing as an alien in YOUR midst who in hunting catches a wild beast or a fowl that may be eaten, he must in that case pour its blood out and cover it with dust. 14 For the soul of every sort of flesh is its blood by the soul in it. Consequently I said to the sons of Israel: “YOU must not eat the blood of any sort of flesh, because the soul of every sort of flesh is its blood. Anyone eating it will be cut off.” 15 As for any soul that eats a body [already] dead or something torn by a wild beast, whether a native or an alien resident, he must in that case wash his garments and bathe in water and be unclean until the evening; and he must be clean. 16 But if he will not wash them and will not bathe his flesh, he must then answer for his error.’” 특히 15절의 이성구는 어떤자가 "사냥" 을 나갔다가 허기가 졌을때( being in need: 약간의 위급상황을 의미)는 이미 죽어있는 사체의 고기를 먹더라도 하루만 부정하고 다시 사면됨을 보여준다. 이것은 이미 동물 사체의 피가 땅에 쏟아지지 않았다는것을 알면서도 먹은행위를 의미한다. 이경우에 이사람은 (eating in need) 했기 때문에 옷을 빨고 목욕을 하면 하루만에 다시 깨끗해진다! 이점에 관한 실제사례가 있었는가? 다음 상황을 읽어보자. 삼상14;32절(1 Samuel 14:32) 32 And the people began darting greedily at the spoil and taking sheep and cattle and calves and slaughtering them on the earth, and the people fell to eating along with the blood.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려면 14장전체를 읽어보면된다. 사울왕의 군인들이 가축의 사체의 피를 먹었기 때문에 모두 죽임을 당했는가? 아니다! 이들은 모두 용서되었다. 그러면 왜? 하나님께선 사울의 기도에 응답하지 않았는가? 같은장 후반부에서 명확히 알려준다! 사울왕의 아들 조나단이 사울왕의 언약을 알지 못한채로 꿀을 지팡이에 찍어 먹었기 때문이었다. 이들 군인들역시 (eating in need) 상태에 있었다. 물론 약간의 위급시라고 볼 수도 있을것이다. 사실 사냥나가서 오랜시간 먹지 못하면 산속에 쓰러질 수도 있을것이다. 이리되면 산속이나 들에서 죽음을 맞이 할 수 도 있었다. 따라서 하나님은 이와같은 예외조항을 마련하셔서 백성들의 생명을 보존하도록 마련하셨다. 그렇다면 여호와의 증인의 수혈거부입장과 이같은 성서기록이 어떤 연관이 있는가? 그것은 위급시엔(being in need) 공의를 위해서 하나님의 일부 계명의 적용에 있어서 융통성을 허용 하신다는 점이다. 가까운 예로 내가족중의 누군가가 간이식을 안받으면 일주일내로 사망한다는 진단을 받았다고 하자. 이런 경우 내간과 호환성이 있다면 나의간을 절개해서라도 내사랑하는가족을 살릴려고 하지 않겠는가? {이같은 장기이식 수술시에는 수혈보다 훨씬 많은양의 백혈구와 적혈구가 피시술자에게로 흘러 들어간다. 이런 장기이식을 허용하면서도 수혈은 금지하는 통치체의 입장은 일관성이 없다. 혈우병환자에게 사용되는 알부민과 같은약물은 엄청난양의 저장된피가 있어야만 만들 수 있는 혈우병 조제다. 이것은 그들에게 있어 생명줄이나 마찬가지다. 이러한 약물이 없이는 혈우병환자가 생존할 수 없다. 여호와의 증인의 통치체는 위선적이게도 여호와의 증인인 혈우병환자들에게는 은밀하게 이같은 피로 만든 혈우병 조제를 허용하면서도 일반 여호와의 증인들에게는 수혈을 금지하는 이중적인 태도를 그동안 견지해왔다. 위선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가?} 좀더 생각을 확장 해보자. 예수께서는 어느날 모세율법중에 어떤법이 가장큰가에 관한 질문을 받으시자 이렇게 대답하셨다! "One of the teachers of the law came and heard them debating. Noticing that Jesus had given them a good answer, he asked him, 'Of all the commandment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he most important one,' answered Jesus, 'is this: "Hear, O Israel, the Lord our God, the Lord is one.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and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mind and with all your strength." The second is this: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 There is no commandment greater than these.' 'Well said, teacher,' the man replied. 'You are right in saying that God is one and there is no other but him. To love him with all your heart, with all your understanding and with all your strength, and to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is more important than all burnt offerings and sacrifices.' When Jesus saw that he had answered wisely, he said to him, 'You are not far from the kingdom of God' " (Mark 12:28-34). 여기에서 유의 해야할 표현이 있다. "이보다 더 큰계명이 없다"는 표현이다.(There is no commandment greater than these.) 바꿔 말해서 예루살렘의 사도들과 연로자들이 nations(열국에서)에서 새언약으로 들어오는 수많은 할례 받지않은 비유대인 개종자들에게 어떤 계명이 필요한가에 관련한 결정에 피와 목메어죽인것과 음행을 멀리하라고 결정하였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것이 두가지이다. 한가지는 안식일을 지키도록 요구하지 않았다는 것이며, 또한가지는 할례를 요구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만일 안식일을 지키는것이 구원을 위한 필수요건 이었으면, 반드시 이때 명확히 발표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육적 유대인으로서 이미 개종한 자들은 모두 할례와 안식일에 관하여 명확한 이해와 지식을 가졌었던 반면에 이방인 개종자들은 이와 같은 점들에 관해 "무지" 하였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예루살렘의 연로자들이 제시한 이런 명령은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라 는 법보다 상위의 법이었는가? 그렇지 않다. 예수자신의 말씀을 묵상해보라. (참고 마가12:28~34) 예수 자신의 다른 말씀을 검토해보자. "One Sabbath Jesus was going through the grainfields, and as his disciples walked along, they began to pick some heads of grain. The Pharisees said to him, 'Look, why are they doing what is unlawful on the Sabbath?' He answered, 'Have you never read what David did when he and his companions were hungry and in need? In the days of Abiathar the high priest, he entered the house of God and ate the consecrated bread, which is lawful only for priests to eat. And he also gave some to his companions.' Then he said to them, 'The Sabbath was made for man, not man for the Sabbath [i.e. the needs of man exceed the legal requirements of the Sabbath]'...Then Jesus asked them, 'Which is lawful on the Sabbath: to do good or to do evil, to save life or to kill?' But they remained silent" (Mark 2:23-27, 3:4; NIV). 여기엔 대제사장 아비아달 시대에 다윗과 그의 수행원들이 하나님이 제사장들에게 명령하신 진설병 관련 법을 어긴 일화를 {반드시 제사장만이 먹을 수 있었던 진설병의 섭취에 관한 일화} 직접 거론 하셨다. 이들 역시 사형 당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이들은"were hungry and in need" 상태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약간의 위기 상황(being in need)이었다. 음식을 오랫동안 섭취하지 못해 기진맥진한 상태에 있던 다윗과 그의 수행원들은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고 진설병을 먹은뒤에 비로소 활력을 되찾았다. 성서 어디에도 이들의 이같은 "범법 행위"?를 비난하는 표현이 안나온다.
Jerusalem, August 18th, 1891. To the Honorable BARON HIRSCH. RESPECTED SIR: – I, a Christian, but a lover of the seed of Jacob, especially because of the promises of God yet remaining to them and the Holy Land, address you upon a subject which I know lies close to your heart. That you may know of my interest in your people, I will cause to be sent to you a copy of each of two volumes of my own writings, in which the promises of God to your nation are cited and commented upon. At present, accompanied by my wife, I am in Palestine, taking a hasty view of the land of promise and its people, and considering the prospects of the soon fulfilment of the predictions of the prophets. As you will see from my books, we find the testimony of the prophets to be, that your nation will be greatly blessed and returned to divine favor between now and the year 1915, A.D. The present persecutions in Russia we believe to be a mark of divine favor rather than the reverse. The Lord declares that ...
댓글
댓글 쓰기